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각종 세 부담 완화 기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부동산) 보유세는 지난해는 물론, 2020년보다도 줄어들게 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공시가격을 기초로 산정되는 각종 국민 부담 역시 크게 완화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날 정부는 제5차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지난해보다 18.6% 낮췄다. 2005년 관련 제도 도입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이다. 공시가격이 떨어졌던 2009년(4.6%)과 2013년(4.1%)보다 약 14%포인트 더 낮아졌다.
부동산 투기와의 전쟁을 선포한 문재인 정부는 앞선 2020년 11월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통해 재산세·종합부동산세의 과세 기준이 되는 공시가격을 2030년까지 시세의 9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후 공시가격이 이듬해 19.05%, 지난해 17.20% 급등하며 각종 세 부담이 커졌고, 공시가격 인하를 공약으로 내세운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되돌린 것이다.
정부는 공시가격 하락으로 국민 부담은 줄고 받게 될 혜택은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부담은 가구당 월평균 3.9%(3,839원·전년 대비)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공시가격 하락으로 내년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수급 대상은 올해보다 약 32만 가구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추 부총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와 국가장학금 등 다른 복지제도 수혜대상도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택 공시가격이 하락하면 해당 제도 수급자 선정의 기준이 되는 소득인정액이나 월소득 환산금액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최근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 추 부총리는 “가격 하락폭이 다소 축소된 가운데 지역별로 혼조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민 주거부담 최소화를 위한 부동산 시장 연착륙과 서민주거 안정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