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올해 조세지출 70조 육박, 역대 최대
3.4조 일몰 도래 항목은 원칙적 종료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국무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서울 용산 대통령실 내 회의실로 입장하고 있다. 뉴시스
올해 정부가 대기업(상호출자제한기업)에 깎아 주는 세금이 4조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기업 대상 국세 감면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년 새 5.8%포인트 늘어 17%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2023년도 조세지출 기본계획’을 보면, 올해 정부가 기업을 상대로 감면해 줄 세금 25조4,000억 원 중 4조2,000억 원(16.7%)이 대기업에 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의 조세지출 수혜 규모와 비중은 갈수록 커지는 추세다. 2021년 2조2,000억 원(10.9%)에서 지난해 3조6,000억 원(15.5%ㆍ추정)으로 대폭 늘었고, 올해는 더 증가하리라는 게 정부 추산이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감면 규모(14조4,000억 원→16조8,000억 원)가 확대됐지만, 비중은 4.7%포인트 줄었다. 조세지출은 세금 감면을 뜻한다.
올해 개인 대상 감면액(43조3,000억 원) 중 29조8,000억 원(68.8%)은 중ㆍ저소득자, 13조5,000억 원(31.2%)은 고소득자에게 각각 돌아간다. 고소득층 비중은 작년 추정치(31.6%)보다 소폭 줄었다.
올해 전체 국세 감면액은 69조3,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계됐다. 이는 전년도 추정치(63조5,000억 원)보다 5조8,000억 원(9.1%) 불어난 수치로 현재 전망치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작년 말 국회가 확정한 세입 예산(428조6,000억 원) 대비 감면율은 13.9%인데, 국가재정법상 감면 한도(직전 3년 국세 감면율 평균+0.5%포인트)인 14.3%보다는 낮은 수치다.
하지만 빠듯한 세입 여건을 감안, 조세지출을 엄격히 관리한다는 게 정부 각오다. 올해 일몰 기한이 도래하는 3조4,000억 원 규모의 비과세ㆍ감면 항목 63개는 원칙적으로 종료하거나 재설계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농업ㆍ임업ㆍ어업용 석유류 간접세 면제 등 연간 감면액이 300억 원 이상인 10건을 대상으로는 심층평가를 진행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조세지출 신설도 가급적 억제할 계획이다. 청년 지원, 일자리 창출, 혁신 성장 등 미래 성장동력 확충에 필요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기획재정부는 “기업 실적과 자산 거래 둔화 등 탓에 세입 여건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는 데다 인구구조 변화 때문에 재정 소요가 커질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각 부처는 이런 조세지출 기본계획에 맞춰 내달 말까지 평가서ㆍ건의서를 제출해야 하고, 기재부는 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올해 세법 개정안에 관련 내용을 반영하게 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