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DMZ에 다시 GP 세우고 중화기 배치... "우리 군도 대응조치"

입력
2023.11.27 17:00
1면
구독

감시소를 설치 중인 북한군 병력. 국방부 제공

감시소를 설치 중인 북한군 병력. 국방부 제공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한 북한이 비무장지대(DMZ)의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복원하고 있다. 병력 투입에 더해 중화기를 배치하는 모습도 포착됐다. 우리 군은 북한의 군사활동에 맞선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27일 군이 공개한 사진에는 △북한군 병력이 감시소를 설치하는 장면 △진지에 무반동총 추정 중화기를 배치하는 장면 △북한군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장면이 담겼다. 남북한은 지난 2018년 9·19 합의 2조 이행 차원에서 DMZ 내 GP 10곳을 각각 철거하고 1곳은 병력과 장비를 철수한 채 보존했다. GP 철거 이후 간혹 GP 주변에서 북한군 병력 활동이 포착된 적은 있지만 초소 복구 및 중화기 반입, 주·야간 경계근무 등 모습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북한군이 GP 내에 무반동총과 고사총 등 중화기를 반입한 모습. 국방부 제공

북한군이 GP 내에 무반동총과 고사총 등 중화기를 반입한 모습. 국방부 제공


이번에 군 당국이 카메라와 열상장비로 촬영한 사진을 통해 북한군 동향을 공개한 곳은 동부전선 소재 한 GP다. 군 관계자는 “(9·19 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11개 GP 모두 유사한 상황”이라며 “지난 24일부터 GP 관련 시설물을 복원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했다"면서 "감시소는 필수 경계시설이어서 11곳 모두 만들 것으로 본다. 주변 경계진지도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또 “북한이 9·19 합의 파기를 발표했으니 그 일환으로 기존 GP 시설물을 복원하는 것으로 본다”며 “(GP 내) 무반동총과 유사한 무기도 식별되고 있으며, 고사총 등도 현재 보이지 않을 뿐이지 다 들여오지 않았나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서해 해안포 개방도 부쩍 잦아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평균 1개소에 2문 정도였는데, 지금은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1개소당 한 자릿수로 개방되어 있었는데 두 자릿수로 수배 증가했다는 것이다.

북한군이 목재로 구조물을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하는 모습. 국방부 제공

북한군이 목재로 구조물을 만들고 얼룩무늬로 도색하는 모습. 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이날 ‘북한의 9·19 합의 파기 선언 관련’ 입장문을 통해 “북한은 지난 23일 국방성 성명을 통해 사실관계를 호도하면서 사실상 9·19 합의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고, 24일부터 일부 (9·19 합의에 따라 제한됐던) 군사조치의 복원 조치를 감행 중”이라며 “우리 군은 북한의 조치에 따른 대응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GP 복원에 우리 군도 상응한 수준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우리 군도 GP를 복원할 것이냐’는 물음에 “적의 행동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며 “신뢰를 깬 건 북한이기 때문에 (우리 군의) 대응조치는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될 것이다. 상응조치는 할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재무장화 가능성도 거론된다. 남북은 9·19 합의 이후 JSA 남북 지역의 초소, 병력, 화기를 모두 철수했다.

북한군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 국방부 제공

북한군 병력이 야간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 국방부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영국, 프랑스 순방 귀국 후 첫 공식일정으로 북한 동향부터 살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김 의장으로부터 9·19 군사합의 일부 효력정지 조치 이후 안보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 대통령실은 “북한의 동향을 빈틈없이 감시하면서 우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라”는 윤 대통령 지시를 전했다.

한편 합참은 북한의 정찰위성 3차 발사 직후부터 진행해온 잔해물 인양 작전을 끝냈다.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브리핑에서 “지난 21일부터 시작한 북한의 소위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잔해물 탐색 및 인양 작전을 26일부로 종료했다”고 밝혔다. 이어 “잔해물 낙하 구역을 설정하고 해군 함정, 항공기, 심해잠수사 등을 투입해 6일간의 탐색 및 인양 작전을 수행했으나 작전 기간 유의미한 잔해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우리 측의 잔해물 인양을 방해하기 위해 1단 분리 후 추진체를 자폭한 것으로 보인다.

김진욱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